Abstract

본 연구는 난과 희귀식물인 보춘화속의 제주도 분포범위와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춘화속은 전 세계적으로 아시아 및 호주 북부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란, 소란, 대흥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보춘화 등 총 6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6종은 모두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내 보춘화속은 해발 16-547m 사이에 분포하였는데, 이 중 대흥란은 해발 16-547m 사이에 분포하여 가장 넓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반면에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 등은 한라산 남사면의 돈내코 계곡 및 효돈천계곡 등 좁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기후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제주도내에서의 해발 분포 범위 확대와 한반도 내륙으로의 자생지 확산이 예측된다. 한편, 제주도내에서 보춘화속자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과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 곰솔군락,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5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내에서 자라는 보춘화속 중 한란과 소란 및 죽백란 등 3종은 구실잣밤나무 군락에서만 출현하였으며, 녹화죽백란은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에서 출현하였고, 대흥란은 곰솔-상수리나무 군락과 곰락 군락 및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3개 군락에 분포하였다. 반면 보춘화는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에서 출현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춘화속은 불법 채취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한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등은 식생학적으로 분포 범위가 매우 협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종에 대한 보전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ange of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genus Cymbidium which is distributed in Jeju Island, Korea. This genus is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Asia and North Australia. In Korea, there are six species [i. e. C. goeringii (Rchb. f.) Rchb. f., C. kanran Makino, C. lancifolium Blume var. aspdistrifolium (Fukuy.) S. S. Ying., C. macrorhizum Lindl., C. nagifolium Masam. and C. ensifolium L.], which were also distributed in Jeju Island. The habitats of this genus ranged between 16 meter and 574 meter above sea level in Jeju Island. C. macrorhizum had the broadest altitudinal range (16-574 meter above sea level), whereas C. ensifolium, C. nagifolium and C. lancifolium var. aspidistrifolium had the narrow altitudinal rang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alysis by TWINSPAN,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Quercus glauca- Aphananthe aspera community. Three species, C. kanran, C. nagifolium, and C. ensifolium inhabited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C. lancifolium var. aspdistrifolium inhabited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C. macrorhizum inhabi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Quercus glauca-Aphananthe aspera community. C. goeringii inhabitated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he populations of the genus Cymbidium have been extremely decreased due to illegal collection in Jeju Isl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range of C. kanran, C. nagifolium, and C. ensifolium was narrow and limited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refore, conservation plans are needed for the protection of these specie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