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동물의 분포는 서식지선택에 영향을 받으며, 서식지의 특성과 먹이자원은 종의 생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분포 패턴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도, 서식지 특성, 잠재적 먹이자원인 양서류의 분포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서식하는 고도범위에서 선호하는 서식지 타입을 알아보고자 고도를 3개의 범주(저고도, 중고도, 고고도)로 분류하였고, 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쇠살모사의 경우,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고도와 물이 있는 계곡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양서류의 경우도 고도와 서식지에 따라 쇠살모사와 동일한 분포패턴을 보였다. 물이 있는 계곡의 쇠살모사와 양서류에 대한 미소서식지 분석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쇠살모사가 저고도에 위치한 물이 있는 계곡주변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었던 이유는 양서류의 분포가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가 비교적 사냥하기 쉬운 먹이자원인 양서류를 선호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The distribution of animals is affected by habitat selection, and habitat type and prey resource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ir surviv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with respect to altitude, habitat type and distribution of potential prey resource in Cheon-ma mountain, Korea. The study area of Cheon-ma mountain was separated into three altitude categories (low, middle, and high altitude) and the habitat typ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aquatic ecosystem and the preferred habitat in relation to altitude was deter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ed-tongue viper snak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ltitude and habitat type: they were mainly distributed at low altitude and in the water valley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correlated with that of amphibians. The analyses of microhabitat use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and amphibians showed that their microhabitat type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water valleys. In conclusion, Red-tongue viper snak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ater valleys at low altitude and this is because amphibians are important as potential prey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in Cheon-ma mountai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