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Houghton, Dawley, & DiLiello(2012)이 개발한 셀프리더십 측정 도구인 ASLQ를 국내 대기업 제조업 팀원들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기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팀원 520명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먼저 무선으로 추출한 260명의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SLQ의 3개 구성요소의 구성타당도가 입증 되었으며, 반분검사 신뢰도, Cronbach''s α 검증 결과, 높은 신뢰도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무선 추출한 다른 260명의 자료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ASLQ의 3개로 구성된 요인구조가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직무성과를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ASLQ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행동지각과 의지, 과업동기, 건설적 인지 모두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SLQ는 직무성과를 예언하는 선행 변인임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ASLQ의 구성타당도, 판별타당도, 교차타당도, Cronbach''s α, 반분검사 신뢰도, 준거 타당도 검증을 통해 도구가 타당도 있고, 신뢰도 높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에서 셀프리더십 측정 도구로 ASLQ를 활용 가능하다 것을 증명하였다. 기존 RSLQ의 35개 문항으로, 문항 수가 많은 다른 변인의 경우 셀프리더십과 같이 측정하기 어려웠는데, 본 연구를 통해 ASLQ와 이러한 변인 간 연구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