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많은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5형식 문형 분류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법을 '학습 문법'으로 명명하고, 교재 집필자가 학습 문법을 설정하고 교재를 구성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문법을 '참조 문법'으로 규정한 후, 이 두 문법에서의 문형 설명을 비교하여 국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나타나는 설명의 단순화 및 오류를 검토하였다. 5문형 체계는 일본식 문법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이 분류 방식은 C. T. Onions에 의해 1929년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서, 오히려 영어학적 이론 문법이 영문법 학습 교재에 반영된 예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필수적 부사구'와 '유표적 구문' 등에 관해 참조 문법의 내용이 반영된 새로운 설명의 시도들도 영문법 학습 교재 내에서 확인되었다. 정확성과 타당성에 기초한 학습 문법을 마련하기 위해 교재 집필자와 교사들이 해외의 권위있는 참조 문법서 및 이론 문법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발견되는 문법 설명의 오류를 피하고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도 더욱 정확한 문법 체계를 교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5 sentence patterns which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 'learning grammar', which is defined as the grammar in learning materials, was compared with 'reference grammar' derived from linguistic grammar with theoretical accuracy and validity. Although the notion of 5 sentence patterns has been assumed to be vestiges of old Japan textbooks,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originally established in 1929 by C. T. Onions. Particularly, new explanations regarding 'obligatory adjuncts' and 'marked construction' were provided in the 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be seen as examples of the reflection of linguistic grammar theories on sentence patterns. If reference grammarbooks and the fruits of linguistic grammar research are used actively, material writers can avoid the errors of grammar description and more correct learning grammar can be taught to advanced learn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