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델타 지역의 상부퇴적사질토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 퇴적사질토의 물리적 특성과 세립분 함유율 및 상대밀도에 따른 전단강도와 투수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답토층 및 하부연약점토층과 인접한 구간에서 퇴적사질토는 세립분 함유량이 높고, 그 외 구간(일부제외)에서는 5%내외의 세립분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은 심도나 위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고, 퇴적환경에 상관없이 0.1~0.4mm의 가는 모래가 주로 분포하고, 전 구간에서 일라이트 점토광물이 검출되었다. 재성형한 상부퇴적사질토 시료의 직접전단시험 결과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내부마찰각 및 점착력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상대밀도의 증가에 따른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의 증가는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립분 함유율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는데 모래에 세립분이 증가할수록 내부마찰각은 감소하고, 점착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상부퇴적사질토의 투수계수는 상대밀도 및 세립분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데 15% 이상의 세립분이 함유된 모래의 경우 투수계수는 상대밀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 basic research to obtain the knowledge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upper sedimented sandy soil in the Nakdong river delta area. The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and permeability with fine content and relative density were also investigated. The upper sedimented sandy soil near paddy and lower soft clay layers showed high percentage of fine content, and the rest parts had about 5% of fine content. The specific gravity regardless of depth and location was almost constant. The upper sedimented sandy soil mostly had particle size about 0.1 ~ 0.4mm regardless of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has illite, a clay mineral, in the entire soil samples. The results of direct shear tests on remolded specimens of the upper sedimented sandy soil revealed that the friction angle and cohesion increased with relative density, but its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fine content was significant, that as increasing it, the friction angle decreased and cohesion increased linearly. The permeability decreased with relative density and fine content, and the permeability of soil containing more than 15% of fine content was independent on the relative den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