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조사하고,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39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5월부터 7월까지 외모만족도 척도 및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외모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신체 부위별 외모만족도 순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성별에 관계없이 외모만족도 순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as also examined. The study adopt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395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1 using the Body Cathexis Scale and the Self Efficacy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WIN 21.0 Program. The scores on both sca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similar rank order of body part by satisfaction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scores and self-efficacy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was similar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appearance satisfaction i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