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연 등 건설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설품질결함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간 결함을 유발시키는 원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원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30개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1,241건의 부적합 사례 중 831건의 건축공종 부적합 사례를 토대로 건설품질결함의 발생요인을 발생단계, 발생현상, 기인원인, 처리방안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관분석을 통해 부적합은 주로 조달 및 시공단계에서 기능결함 및 시공결함의 형태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작업자의 실수, 조악한 품질의 자재사용, 그리고 잘못된 시공방법에 의해 발생되는 품질결함은 주로 특채, 수리, 재작업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공사비 증가 및 공기 지연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향후 품질결함의 발생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품질결함 방지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정량적 지표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Construction defects are major components that result in cost overruns and schedule delays in construction projects.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defects. However, little effort has been devoted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various reasons of construction defects while a defect is not usually an outcome of a single cause, but rather occurs when several interrelated causes combin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analyzes 831 nonconformity reports collected from 30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from 2011 to 2014.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construction defects occurred in the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phase and as the pattern of function defect and installation defect. Triggered by human error, defective material and faulty method, these defects are treated by conccession, repair, rework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cost and schedule performanc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correlation among various reasons of construction defects and quantitative measures for establishing effective defect prevention strateg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