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 이주한 노동자들이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23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5월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7개 하위영역 중 향수병과 차별감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고졸 졸업자가 중졸이하보다, 모국 공동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차이 중, 차별감, 향수병, 문화충격, 모국 공동체가 없는 경우 및 공공장소에서의 부당대우를 경험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동거하는 경우보다 향수병을 더 느끼며, 남자가 여자보다, 고졸이 중졸이하 보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죄책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사회에 건전하게 적응하기 위한 향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cculturative stress in foreign workers in Korea. The data of 123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y, 2010,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o comp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culturative stress. The results: The highest score among 7 subcategories of acculturative stress was homesickness, followed by discrimination. Subjects who had high school diploma were more likely to have acculturative stress than those who were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Those who did not have the community with their homeland people experienced acculurative stress more than those who had. The 7 subcategories showed that those who had homesickness, the sense of being discriminated, culture shock, the homeland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of unfair treatment in public had acculturative stres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spouses had homesickness more than the counterpart. Male subjects,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and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spouses appeared to have guilty feelings more ofte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foreign workers so that they could adjust themselves well to the Korean societ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