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과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여러 면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별자리 모양이나 별이름 등에서 중국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규장각에 보관중인 조선 초기의 보천가와 중국 수대(隋代, <TEX>$581{\sim}618$</TEX>) 왕희명(王希明)이 저술한 보친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보천가에 그려진 천문도 별자리 모양과 연결선 그리고 본문 설명에 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두 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별자리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 전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서적의 구성에서 서문과 삼원 별자리, 은하수 설명은 확연한 차이를 보여 준다. 둘째, 보천가에 그려진 전반적 별자리 그림은 비슷하지만 별자리의 연결선과 별의 개수가 여러 곳에서 다르게 그려져 있다. 셋째, 조선의 보천가는 중국 왕희명 보천가와 달리 별자리 설명에서 별의 색깔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두 나라 보천가의 차이점과 조선 보친가의 고유한 특징을 찾아 논문에 정리하였다. 조선 보천가와 중국 보천가의 여러 차이점은 우리 고유의 천문지식과 체계가 고려시대 이전부터 꾸준히 전해져 왔음을 짐작케 한다. Korean historical constellations and their names are similar to Chinese ones. Although Korean historical astronomy is influenced by China, they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each shape and names of the constellations. We, therefore, compare Bocheonga (步天歌) of the early Joseon dynasty (朝鮮, <TEX>$1392{\sim}1910$</TEX>) preserved in Gyujanggark (奎章閣) with that of the Sui dynasty ((隋代, <TEX>$581{\sim}618$</TEX> of China written by Wang Ximing(王希明) in terms of star charts and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We find out that the two books are partly different all over the books. First, there are definite differences in preface, three area of constellations (三垣) in the heaven, and the description of the Milky Way. Second, some of constellations show different in shape, the number of stars. Especially connecting pattern in some constellations shows different in each other. Third, Joseon Bocheonga describes their colors for some stars. These mean that Joseon has a unique tradition of star maps unlike Chinese one. We also summarize the difference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seon star charts compared with Chinese on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