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s (RCC) were establish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cerebrovas -cular disease and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easure-ment tool of public benefits in RCC.Methods: Through the intensive literature review, experts surveys and their repetitive feedback, we selected the 46 items about the public benefits in RCC.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involved content validity test using Content Validity Index (CVI), construct validity test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Results: Thirty-five items were selected by content validity test, which CVI was 0.08 or higher. Through the construct validity test, 32 items in 7 factors were derived. And Cronbach’s alpha was 0.951. Finally, public benefits measurement tool is composed of 32 items in 7 factors which are comprehensiveness of health care services, market complement, emergency care, cost, governance, quality improvement, and government control.Conclusion: Though we developed the measurement tool of public benefits in RCC, it would be utilized to measure the public ben-efits of various health agencies.Keywords: Public benefits; Validation study;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Highlights

  •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s (RCC) were establish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4 Does the medical team have the ability to provide a certain level of health care service?

  • 18 Are there any guidelines or instructions to follow in emergency or disaster situations?

Read more

Summary

Background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s (RCC) were establish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또한 의료의 공익성에 대한 보건의료 분야 전 문가 및 타 분야 전문 인력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대학교수 및 연구기관 종사자뿐 아니라 의학 · 보건 분야가 아닌 타 전문 분야 종사자 7명을 포함한 총 25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을 통 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별로 공익성의 측정에 대한 관련성에 대하여 1점(전혀 관련 없음), 2점(관련 없음), 3점(관 련 있음), 4점(매우 관련 있음)으로 4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 과 전문가 중 3점 혹은 4점의 점수를 준 항목의 비율로 본 CVI가 0.80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의료의 공익성에 대하여 양질의 의료제공, 시장에 대한 보완 및 정부규제, 포괄의료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및 시민참 여, 거버넌스 등의 다양한 개념으로 응답하였는데 이는 기존 문헌 고찰 내용과 유사하였다. Lee [10]의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것과 유사하 게 공익성의 차원을 보건의료와 기관의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하 부영역에 Bozeman [11]의 접근방법으로 소유권, 목표설정, 재원, 정부통제의 영역을 포함하였고, Mun 등[4]이 제시한 거버넌스, 양 질의 의료서비스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는 총 25명 으로 50%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17명(68%), 연 령별로는 40대가 17명(68%)이었으며 대학교수가 24명(96%)을 차 지하였다. 문항분석결과, 의료 공익성 측정에 대한 CVI가 0.80 이 상 되는 항목은 전체 46문항 중 35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써 기 존 문항 중 11문항이 제외되었다. 제외된 문항은 보건의료서비스차 원에서는 양질 의료제공영역에서 1개, 시장보완 및 정부규제영역에 서 2개, 포괄의료서비스영역에서 1개, 환자중심의 운영영역에서 2 개였으며, 기관의 차원에서는 소유권의 영역에서 3개의 항목이 모 두 제외되었고, 목적설정영역에서 1개, 재원의 영역에서 1개가 제외 되었다(Table 1). 이후 2회에 걸친 전문가 자문과 연구진들의 지속

15 Is the government’s legal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being carried out?
Findings
46 Is there a social contribution component included within operation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