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α-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