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남한에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과 그들의 형태학적, 암석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된 남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은 최소한 68개 지역이다. 이들은 지리적 여건과 화산활동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한탄강유역에는 16개 지역에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15개 지역은 제4기의 현무암질 용암이며, 나머지 1지역은 백악기 화산암이다. 2) 제주도의 주상절리는 18개 지역이다. 이들 모두 신생대 제4기에 분출하였으며, 대부분은 현무암질 용암이고, 산방산과 백록담 등은 조면암이다. 제주도 주상절리는 칼러네이드와 엔태블러춰가 잘 발달하며, 끌자국도 선명하게 관찰된다. 3) 울릉도와 독도에서는 국수바위를 비롯한 5개 지역에서 관찰되며, 이들은 제4기 조면암이다. 4) 포항-경주-울산의 8개 지역에서 돔형, 방사상, 수평 및 수직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이들 모두는 제3기 화산암이다. 충청남도 평택-아산지역, 그리고 강원도 고성의 제3기 현무암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된다. 5) 남해안과 서해안에는 모두 15개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되는데, 이들은 백악기에 분출한 화산암으로 현무암에서 유문암까지, 용암에서 용결응회암까지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등산과 주왕산의 주상절리도 백악기에 분출한 용결응회암이다. 남한의 주상절리를 지역별로 분류하면, 강원도가 5개, 경기도 13개, 충남 2개, 경북 14개, 전북 1개, 전남 10개, 경남 5개, 제주 18개 지역이다. 주상절리의 형성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가 18개, 신생대 제3기가 12개, 그리고 신생대 제4기가 38개 지역이다. 화산암의 마그마계열은 알칼리암계열이 36개, 비알칼리암계열이 32개 지역이다.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collate distribution, morphology, petrology of columnar joint in South Korea. Reported columnar joint areas in South Korea are 68, until the present time. These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 by geography and volcanic activity. 1) The 16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 Hantangang region. The 15 areas in this region are composed of basaltic lava in the Quaternary period, and the other 1 area is composed of volcanic rocks in the Cretaceous period. 2) The 18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 Jeju island. Most of them are composed of basaltic lava(alkali basalt and Hawaiite), and the Sanbangsan and Baegrokdam area are composed of trachyte in the Quaternary period. Colonnade, entablature and chisel mark of the columnar joint are typically occur in basaltic lava. 3) The 5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Ulleung island and Dokdo including Guksubawi. These are consisted of relatively well-formed trachyte columns in the Quaternary period. 4) The 8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Pohang, Gyeongju and Ulsan region and consist of the Tertiary period volcanic rock. It's shape are dome, radial, horizontal and vertical. The 4 columnar joint areas are reported in the Pyeongtaek and Asan city of Chungcheongnamdo and Gosung of Gangwondo. All of them are the Tertiary period basalt. 5) The 15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west and south coast region. Those are consisted of various rock type(from basalt to dacite), various occurrences(lava flow to welded tuff), and various diameters(20 cm to several meters). The columnar joint of Mudeung mountain and Juwang mountain are welded tuff in the Cretaceous period. The columnar joint is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in South Korea, 5 in Gangwondo, 13 in Gyeonggido, 2 in Chungnam, 14 in Gyeongbuk, 1 in Jeonbuk, 10 in Jeonnam, 5 in Gyeongnam, and 18 in Jeju. The columnar joints in South Korea can be arranged in order of formative period, 18 in the Cretaceous period, 12 in the Tertiary period, and 38 in the Quaternary period. By magma series, 36 are belong to alkaline series and 32 are belong to sub-alkaline ser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