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수용성 물질의 추출 수율을 높이고 압출 온도가 ginsenoside 및 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출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 백삼의 추출수율과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의 증류수 추출 수율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백삼이 가장 낮았다. 압출 성형백삼의 경우는 압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증류수 추출시 80% 에탄올 추출시보다 추출수율이 증가하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압출 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포닌 함량도 증가하였다. 11종의 총 ginsenoside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다. 백삼에서는 R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홍삼에서는 Rg1, Rg3, Rb2가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백삼에서는 Rg2, Rh1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인삼의 유리당 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 인삼이 가장 낮았다. 인삼의 명도(L)값은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백삼이 가장 낮았다.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실험에서 압출 성형 백삼은 정수로 추출 시 추출 수율이 백삼에 비해 25%이상 높았고, 조사포닌 함량도 약 20% 높았다. 또한 Rg2, Rh1, Rh2, Rg3의 ginsenoside 함량이 백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압출 성형 백삼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 시 높은 추출 수율, 사포닌 함량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trusion process on the change of components in ginseng. The extraction yields from ginseng by distilled water extraction were highest in the extruded ginsengs, whereas it was lowest in the white ginseng. The contents of crude saponin were highest in the extruded ginseng, and they increased as the extrusion temperature was raised. The total contents of 11 kinds of ginsenosides increased in the order of red, white and extruded ginsengs. In particular, red ginseng showed higher contents of Rg1, Rg3 and Rb2, whereas Re was highest in white ginseng. In addition, the contents of Rg2, Rh1, Rh2 and Rg3 in the extruded white ginseng became higher. Free sugar contents were greatest in red ginseng. However, they were lowest in the extruded ginseng. White ginseng had a greater L value, whereas extruded ginseng demonstrated higher a and b values. In conclusion, the extraction yields, the contents of saponin, and ginsenoside-Rg2, Rh1, Rh2 and Rg3 were increased through the extrusion proc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