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전기 고생대 퇴적암류인 조선누층군은 각 층군을 이루는 층들의 층서와 특징에 따라 태백층군, 영월층군, 평창층군, 용탄층군과 문경층군으로 구분되어 왔다. 이중에서 평창지역에 분포하는 평창층군은 정선층과 입탄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선지역에 분포하는 용탄층군 내에서도 평창층군과 동일한 암석학적 특징을 가지는 정선층이 나타나기 때문에 평창층군을 용탄층군과 차별화하여 독립적인 층군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입탄리층이다. 입탄리층은 전체적으로 하부에 결정질 탄산염암 내에 편암(천매암)이 협재되어 나타나고, 상부로 갈수록 다양한 규질 성분을 포함하는 결정질석회암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최상부에는 암회색 결정질 석회암과 담회색 결정질 탄산염암이 호층을 이룬다. 지질도학적으로 입탄리층은 정선층의 주향방향에 위치하고 있어서 정선층의 상부 혹은 하부 층으로서의 층서적 개념이 적용되기는 어렵다. 또한 입탄리층의 편암(천매암)은 정선층의 셰일(천매암)과 대비되며, 최상부의 담회색-암회색의 탄산염암의 호층은 두 층에서 동일하게 분포된다. 이는 입탄리층이 정선층과 동일한 층이지만, 입탄리층 주변에 중생대에 관입한 마그마로 인해 지역적인 열변질작용의 영향을 받아서 정선층보다 더 심한 변질을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탄리층에 의해 구분되어왔던 평창층군은 용탄층군과 같은 층군으로 해석되는 것이 타당하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