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은 우리나라의 육상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외래종으로 알려져 있다. 교란 지역으로부터 그늘이 지는 숲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한국에서 나타나는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특성에 대해서는 양지와 음지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우면산을 대상으로 광도 및 토양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의 관계,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양등골나물의 분포는 상대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낙엽층이 깊어지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서양등골나물은 우면산에서 주로 등산로 주변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특히 등산로로부터 숲으로 10m 이내에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었는데(p < 0.01), 이 지역은 빛과 임상 상태가 서양등골나물에게 유리한 지역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은 계곡보다는 능선에서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형에 따른 차이는 등산로로부터의 거리 10m를 전후로 한 9m, 12m 위치에서 가장 컸다(p < 0.05). 토양의 수분함량, 석력함량, pH 등은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양등골나물이 다양한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본 연구는 등산로가 외래종의 침입에 취약한 지역임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등산로 관리에서 외래종의 침입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Ageratina altissima is an invasive plant species known to threaten native plant communities in Korea. A. altissima is thought to invade shady forests from disturbed open areas; however, uncertainty remains as to how shade and litter depth might affect establishment. A study of A. altissim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reas adjacent to trails was undertaken at Mt. Umyeon in Seoul, Korea. Increasing densities of A. altissima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greater light availability and decreasing litter depth (p < 0.001) within 10 m distance from trail locations and on ridges rather than further within forests and valleys.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gravel content and soil pH on distribution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A. altissima is adaptable to a broad range of soil conditions. Results indicate that forest areas close to trails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place to A. altissima invasion, demonstrating the need to carefully consider implications for A. altissima expansion in trail manage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