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하류 구간에서 증가방류에 의한 유사의 이송 및 하상토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가방류에 의해 하상토의 평균입경은 증가하고, 표준편차는 작아지며, 입경분포는 균등하게 변하였다. 혼합사로 구성된 하상토의 표층은 굵은 자갈로 형성되었고, 저층은 모래로 구성되었으며, 유사의 수직분급이 발생하였다. 유사의 거동은 소류사 형태로 이동하였다. 혼합사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유사 채집상자에 포착된 유사의 통과중량 백분율에 대한 상대입경비(D<TEX>$_i$</TEX>/D<TEX>$_{50}$</TEX>)를 분석한 결과, 현도지점에서 상대입경비는 D<TEX>$_{50}$</TEX> 보다 큰 경우에 약 1.0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부강 지점에서 상대입경비는 증가방류 전과 후의 중간에 있었다. 현도수위표에서 하상토의 입경에 대하여 개별입자에 대한 작용력과 저항력의 비(<TEX>$\tau_i^*$</TEX>)는 D<TEX>$_{50}$</TEX> 보다 큰 경우에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부강수위표에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댐 직하류에서 장갑화 현상이 부강수위표보다 크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증가방류에 의해 입경이 균일하게 이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s downstream of Daecheong Dam by flushing flow was investigated. Flushing flow affected the downstream environment in such a way that the mean diameter of bed material was increased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decreased. The vertical sorting of bed materials composed of mixed sediment in the sediment box was observed. The surface layer was composed of gravels, and uniform sand material was buried below it. Relative fractions (Di/D50) of the bed material trapped in the box was nearly 1.0 for the bed material coarser than D<TEX>$_{50}$</TEX> at Hyundo gauging station, and was between two values on the bed surface before and after the flushing flow at Bugang gauging station. Ratio of driving force to resisting force for each fraction (<TEX>$\tau_i^*$</TEX>) with the faction size maintained constant for the bed material coarser than D<TEX>$_{50}$</TEX> at Hyundo station. At Bugang station, however, it was rapidly decreased. It means that pavement of the surface layer of bed material at Bugang station was developed, with the sediment particles moving downstream uniformly by flushing flow.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