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양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국내 서식종을 기반으로 한 생물학적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물질은 유해도, 물리적 거동, 해양산업시설 실태조사 출현물질 등을 기준으로 하여 Copper, Nickel, 2-propanol, Phenol을 선정하였다. 시험생물은 국내에 서식하며, 표준 시험방법이 존재하고, 실내 사육이 가능하며, 독성 민감도가 높은 종을 우선하여 식물플랑크톤 2종, 무척추동물 4종, 해조류 2종, 어류 2종(총 10종)을 선정하였다. 독성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종민감도분포곡선(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 curve, SSD) 기반 HC5 (Hazardous Concentration of 5 %)를 추정하였으며,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예측무영향농도(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를 산출하였다. 확률론적 방법으로 산출한 PNEC는 0.008 mg/L (Copper), 0.33 mg/L (Nickel), 554 mg/L (2-propanol), 2.4 mg/L (Phenol)로 나타났으며, 국외종을 기반으로 한 PNEC와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현재 국내 수질 준거치는 미국 및 유럽의 환경기준 등을 적용하고 있어 국내 수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해양 서식종을 기반으로 한 독성시험과 종민감도분포곡선을 활용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도출된 준거치를 해양산업시설 배출허용기준 설정 시 활용할 필요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