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범주 예 생성 과제를 통해 측정되는 개념적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초등학교 2학년 60명, 초등학생 6학년 60명, 고등학생 60명, 총 180명이었다. 대상 아동들에게 범주예 생성 암묵적 기억검사, 지식기반검사, 메타기억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암묵적 기억량은 초등학교 2학년과 고등학생, 초등학교 6학년과 고등학생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지식기반수준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연령과 지식기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메타기억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들로 연령, 지식기반, 그리고 메타기억이 암묵적 기억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동이 연령에 따라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발달한다면 암묵적 기억이 발달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base and metamemory in children's conceptual implicit memory with category-exemplar-generation task. Subjects were total 180 children of each 60 from Grade2, Grade6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examined implicit memory with category-exemplar-generation task, knowledge base test, and metamemory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The result was following: First, as the child grow old, implicit memory primed increased. Implicit memory amou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ade2 and High school students, Grade6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the child grow high knowledge base, implicit memory primed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found between age and knowledge base. Third, as the child grow high metamemory, implicit memory primed increased.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that the state of the age, knowledge base and metamemory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in implicit memory. And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mplicit memory can show development if a children's knowledge base and metamemory in developing with a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