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현대 과학기술연구개발에서 데이터의 수집, 큐레이션, 분석, 시각화의 효율화는 과학기술발전의 중요한 요소이다. 데이터 집중연구에서 이러한 과학데이터의 가치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과학데이터의 생산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지만 데이터를 수집하고 배포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는 측면에서 보면, 현재 분야별로 과학데이터의 개별적인 활용 체제만 운영되고 있어 걸음마 단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차원의 국가 과학데이터센터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국은행(2009)의 산업 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자유발효과 및 전 후방연쇄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여 국가 과학데이터센터 구축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In the modern scientific R&D, the efficient acquisition, curation, analysis and visualization are core elements of the science development. The value of scientific data is very important in data intensive research. An output of scientific data is drastically increasing. However we have only each individual system of scientific data in now. Therefore We feel a lack of efficiency of scientific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 an economic ripple effects in terms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dded value inducement effect, labor inducement effect and forward backward linkage effect of national scientific data center construction using an input-out analysis of the bank of Korea(2009). We also examine an economic propriety of national scientific data center construc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