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콘텐츠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의 광대역화로 인한 다매체 다채널 환경은 광고시장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콘텐츠 유통 윈도우로서의 플랫폼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장악하는 미디어는 제작능력과 자본능력을 보유한 소수의 매체라는 점에서 증가하는 플랫폼을 통한 추가 광고의 수익은 대부분 이들 거대 독점 미디어에 쏠려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미디어렙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일부 미디어에 편중된 광고시장의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다양한 장르와 실험적인 도전으로 새로운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성장이 예견되고 있는 유료방송시장이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일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료방송광고시장의 확대를 위한 방법론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간접광고와 가상광고, 광고금지 품목에 대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었고,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광고시장 확대를 위한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As contents go digital and networks go broadband, there are a lot of changes made to Ad market caused by multimedia and multichannel environment. While platforms as the contents distribution window are increasing, the reality is that additional Ad revenue through platforms is concentrated on mammoth exclusive media because there are small number of the media that has control over platforms is able to create production and provide capital. In addition, as Media rep laws is passed at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tipping effect in Ad market concentrated to some media. In this reality, pay TV market is expected to be within its direct orbit as it is predicted to produce new contents and distribution growth thanks to a wide variety of genres and experimental challenge. Thus,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ology and an alternative for pay Ad market expansio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 improvement scheme of indirect advertisement, virtual advertisement, and prohibited advertising item is suggested, and methodology for advertising market expansion is suggested through enterprise and govern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