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고종대 고려를 침입한 몽골은 고려와의 관계에서도 그들의 전통적 세계관을 그대로 적용시키고자 했다. 강동성전투 시기 양국의 첫 접촉 후 고종 재위 기간 내내 그들은 줄곧 고려에게 군주의 친조를 요구했는데, 이는 몽골이 친조를 실질적인 복속의 자세로 받아들이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사대관계라는 형식을 유지하려는 고려와 갈등이 빚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몽골은 고려를 침입하여 고려의 남부지역까지 공격을 하며 고려의 복속에 온힘을 기울였으나, 장기간 전쟁이 지속되면서 고려를 복속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아울러 남송 정벌에 전력을 다하기 위해 고종 40년부터는 친조 강요에서 벗어나, 태자 친조나, 국왕과 태자의 출륙 항복 요구 또는 태자의 군전 항복으로 태도를 바꾸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몽골과의 전쟁으로 인해 피해가 심각해진 고려도 사대관계만을 고집할 수 없게 되었다. 고려는 국왕 친조는 거부하면서, 태자 친조는 허용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수정하였다. 이는 고종대 양국관계가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요구를 강요하거나 요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음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고려가 이러한 절충안을 도출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의 저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종대 대몽항쟁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