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白蓮 池雲英(1852~1935)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인물로 독특한 이력을 가진 서화가이다. 그는 일본에서 사진술을 배우기도 하고, 김옥균 암살 시도로 인하여 유배에 처해지는 등 굴곡이 많은 삶을 살았다. 또 서화가로서도 유명하여 시서화삼절로 알려져 있었으며, 유불선에 두루 능통하였다고 전한다. 본고에서 다룬 지운영의 <관음보살도>는 그가 남긴 얼마 안되는 불교 관련 작품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의 도상은 조사결과 중국 절강성 보타산에 남아있는 역시 당대 유명 화가였던 염립본의 관음보살 석각의 도상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상과 더불어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담채의 채색은 그의 불교 관련 작품들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상세한 고찰은 중국 당대 유명 화가인 염립본의 관음보살도 도상이 한국 근대기 서화가에 의해 구현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도상적 근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의 작품으로 인해 그간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염립본의 관음보살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의를 통해 격변기인 근대기를 지냈고, 다재다능했지만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았던, 지식인인 동시에 서화가였던 지운영의 불교적 성향과 관련 작품에 대한 논의들이 보다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