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일본사회의 어린이 독서운동의 핵심인 문고운동을 고찰하고, 그것이 학교도서관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어린이 독서운동과 학교도서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내용을 연구하였다. 하나는 일본의 정부가 주도하는 학교도서관, 어린이 독서활동과 관련된 정책이고 다른 하나는 시민이 주도한 문고운동이다. 문고운동은 1960년대에 어린이 독서운동으로 시작하여 공공도서관 설립운동으로 발전하였고, 1990년대에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운동에 참가하였다. 이 두 내용은 학교도서관을 교수-학습센터로서 보다 주로 어린이의 독서환경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학교도서관을 독서시설로 이해하는 경향은 교과과정의 전개를 지원한다는 학교도서관 전문성의 확립을 저해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unko, the center of Japanese children's reading movement,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y. Paper is consisted by two parts , one subject is the programs and the law made by government which is related to either the school library or children's reading, the other is Bunko movements initiated by citizen mostly mothers who wish to improve their children's reading environment. The Bunko movements started in 1960's and motivate the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in 1970's, and it has triggered activating the school library after early 1990'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of the two subjec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y are tightly connected each other by emphasizing the function of school library not as a teaching-learning center but as a reading facility. It makes difficult for the Japanese school library to establish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supporting curriculu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