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순차분석방법(Sequential analysis)을 적용하여 한국 베이비붐 세대 근로자의 최근 15년 동안의 직업이동 패턴과 유형의 특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탐색은 한국 근로자의 후기 경력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직 지원 전략을 탐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직업이동 유형과 빈도분석, 직업별 변환확률분석, 유의도검사 등을 활용하여 근로자 직업이동 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노동패널의 15년차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 근로자는 전문가 및 준전문가의 비중에 비해 단순 기술 기능 조립직의 종사자와 농업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베이비붐 여성근로자의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기능 종사자 및 단순노무 근로비중이 상당히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 후 귀농을 선택하거나, 단순노무직과 같은 낮은 일자리로의 직업이동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전직 및 퇴직지원 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job mobility types and patterns of baby boomers over the past 15 years. Sequent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at were derived from Wave 1~15(1998~2013)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job mobility types and frequency, conversion analysis, probability, and significance r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roportional rates of male baby boomer workers such as technical, functional, and agriculture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fessionals and semi-professionals, whereas in case of female baby boomer workers, proportional rate of office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It was showed that functional and labor worker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We found that after retiring, they left their job to search for farming job or choose to work in secondary labor markets. We suggested that the retirement support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conducted in a good manner.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