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대학으로부터 교직원에게 지급되는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금은 어떤 종류의 소득으로 정의되는지에 따라 과세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 비과세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정부는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연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및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법을 제정하여 대학에서 생산된 기술을 산업계로 이전하여, 연구생산성을 높이고 산학 간 협력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해 오고 있다. 그러나 정부부처간의 법 해석의 차이로 인해 대학이 교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직무발명 보상금에 대한 과세의 혼선이 초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대학의 직무발명 보상금 비과세제도를 둘러싼 부처 간의 갈등과정을 법해석의 차원에서 고찰하고, 비과세제도의 집행효과를 개인소득세 감면의 차원에서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제도의 정착을 위해 정부에 대한 제언을 직무발명 보상금의 제도 개선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The compensation for employee invention from the university can be taxed or non-taxed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income. The government legislated the Promotion of Industrial Educ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 and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ct in order to improve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universities and industrial-academic collaboration via transferring the technologies. However, the confusion with taxation on the compensation of employee invention from the university has been incurred due to the difference of legal interpretation between government bureaus. In this research, bureaucratic conflict on the non-taxation scheme is examined in a legal aspect and the effect of non-taxation scheme is also studied in aspect to personal tax exemption.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settlement of the non-taxation scheme in order to improve employee invention from the universit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