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논문은 키르기스스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 국외 보급 네트워크를 살피고 향후 거버넌스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키르기스스탄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 보급 네트워크 연결 구조와 과정을 분석하였다. 세계 곳곳에서 한국어 학습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수많은 기관이 한국어 국외 보급에 참여하며 궁극적으로 국가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한국어 보급 거버넌스도 유명무실해진 경우가 반복되고 있어서 한국어 보급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발견하여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결국, 본 연구는 보급 거점과 첨병 등 네트워크 행위자의 역할 구조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보급 거버넌스의 이론적 토대 마련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