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해사채취 지역에서의 저서동물은 채취에 따른 해저퇴적층의 교란 및 부유탁도에 의한 재침전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해사채취의 규모에 따른 저서생태계 변화 및 회복에 대한 연구는 단시간의 소규모 교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해사채취에 따른 생태계 교란을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사채취가 많이 이루어지는 경기만 지역에서, 대량<TEX>$(70,000m^3)$</TEX>의 시범 해사채취를 실시하여 저서생태계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생태계 조사는 2005년 11월부터 시범채취가 시작되기 전과 채취기간 동안에 실시되었다. 시범채취가 시작되기 전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수는 해사채취가 진행되고 있는 주변 지역에서와 비슷하였다. 시범채취 예정 지역(정점 1과 2)에서 단각류 U. grimaldii japonica가 우점했으며, 다차원척도분석에서도 시범채취 예정해역은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시범채취가 시작되면서, 정점 0과 1에서의 종수 및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이곳에 우점했던 단각류 U. grimaldii japonica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시범채취 2개월 후에 조사된 3차 조사에서는 정점 0과정점 1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정점 2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간의 유사도 분석과 IMD 그리고 rIMD 그리고 P/A ratio분석에서 정점 0과 1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사채취의 직접적인 영향은 정점 0과 1에서 나타났으며, 정점 2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해사채취에 따른 저서생태계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이용한 IMD과 r.IMD및 P/A ratio 분석 결과는 모두 비슷하였으며, 장기간의 모니터링 검증을 통해 생태평가지수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Small-scale effects of sand mining on macrobenthic communities have been reported previously.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as to how dredging affects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s of large-scale exhibition dredging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Gyeonggi Bay, Korea, where sand mining has continued for 20 years. Prior to dredging, the macrobenthic species composition was similar to that of areas near the dredging site, with several common dominant species found before dredging. After dredging,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and diversity (H') in the experimental area (sites 0 and 1) decreased significantly,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at other sites. Multivariate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dredging. The amphipod Urothoe grimaldii japonica, which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t sites 0,1, and 2, decreased rapidly at sites 0 and 1 after dredging,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at site 2. In addition, the index of multivariate dispersion (IMD) and the relative IMD (r. IMD) were large at sites 0 and 1,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dredging were direct at site 0 and 1, but indirect at site 2.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at sites 3 and 4 were not affected by dredging, but they were affected by physical conditions and biological interactions. We suggest that benthic biotope indices such as the IMD and r.IMD may constitute a valid tool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dredging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to verify thi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