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월극영화(越劇映畫)는 중국 극영화의 한 유형으로 중국 사의(寫意)미학의 정수를 계승하였다. 월극 무대 공연의 사의성(寫意性)에 관한 기존 연구는 월극 미학을 중국 희곡(戲曲) 미학에 포함시켜 간단하게 고찰한 것이 대부분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월극영화의 미학에 관한 연구 상황도 월극 미학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월극영화와 월극무대를 사의 미학적 관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기타 일부 학자들은 월극영화를 무대 공연의 정형을 벗어난 이질적 존재로 간주하였다. 이것은 일부 연구자들이 월극영화의 사의적 미학에 대한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월극영화는 사회적 공감과 비정한 소재를 통해 중국 강남(江南) 지역의 정원, 실내 장식 등을 배경으로 여성이 주체가 되는 가무 표현 형식으로서 부드럽고 아름다운 의경(意境)과 흥미(興味)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강남의 생명력과 분위기를 시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월극영화가 함의하고 있는 기본적 표현은 ‘부드러운 감정, 비정, 시적 정서와 개방적 정신‘이며 현대 예술 형식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음으로 깨닫고 이해‘한다는 관람 패턴을 통해 영화의 영상 표현뿐만 아니라 영화의 주제와 내용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화됨으로써 월극영화는 인간의 감정, 정서, 정신 등을 반영하는 문화 메커니즘을 형성하였다. 1950~1960년대 촬영된 몇 편의 멜로소재 월극영화에 대해 공시적 측면과 통시적 측면에서 월극영화의 사의적 표현을 분석하였고, 월극이 영화 장르의 제작 방식을 도입해서 사의적 표현을 발전시킨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토론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