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순수 관광을 목적으로 서울 지역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을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로 분류하여 이들이 선택한 관광목적지에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외래관광객이 방문한 관광지 20개소를 중심으로 연결망 자료를 구성하고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밀도와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관광지들은 주로 강북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매우 유기적인 연결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방문자들의 이동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전체 이동네트워크가 활발함을 의미한다. 둘째, 관광지들의 연결정도, 근접, 매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상위 관광목적지는 전반적으로 동일했지만 재방문자가 선택한 관광목적지 중 신촌/홍대주변, 강남역, 가로수길 등은 중심성 지수가 높아지면서 결절지로서의 역할이 강화되는 변화를 보였다. 즉, 재방문자는 최근 국내에서도 젊은 연령층에게 각광받고 있는 신흥관광지에 더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방문자 특성에 따른 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ces of tourism destination choices for sightseeing in Seoul between first-time visitors and repeat visitors. We constructed social network using secondary data from '2015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and analyzed its density and centrality. Study results find that: (1) first-time and repeat visitors' tourism destinations are concentrated in areas located north of the Han river. The proximity of destinations suggests the positive effects resulting from the movement network. (2) As the result of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the highest ranking tourism destinations for both visitor groups are identical, but indexes of centralities in repeat visitors' destinations increase, including Shinchon/ Hongik University, Gangnam station, and Garosu-gil. Therefore, the roles of these destinations are becoming established as tourism hubs and are popular among younger visitors as well as attract repeat visitor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useful reference in developing and managing new tourism produc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