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화양연화〉의 남녀 주인공인 차우와 수리첸의 심리분석을 통해 왜 그들의 사랑은 엇갈리고 어긋날 수밖에 없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남녀 주인공의 심리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약속(우린 그들과 다르다)과 3가지 중요한 장면, 그리고 하나의 사건(분홍색 신발)을 선택하여 그것을 그들의 심리로 들어가는 실마리로 잡았다.<BR> ‘우린 그들과 다르다’라는 말은 욕망을 금지하는 선이다. 수리첸은 그 금지의 선까지 왔다가 그 선을 넘지 않고 되돌아간다. 그것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이 바로 분홍색 신발이다. 그녀는 차우를 만나기 위해 홍콩에서 싱가포르까지 가지만 그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고 자신이 왔다는 증거만 남기고 되돌아온다. 자신이 그선을 넘어가면 되는데 자기는 안 넘어가고 대신 차우에게 그 선을 넘어오도록 유도한다. 그것이 수리첸의 사랑 방식이다. 정신분석적으로 수리첸의 사랑 방식은 불충족의 욕망을 추구한다. 히스테리적인 사랑의 방식이다. 수리첸은 자신이 차우를 욕망한다고 말하지 않고 대신 차우가 자신을 욕망한다고 말하기를 유도한다. 차우의 욕망을 위해 자신의 욕망을 양보하고 자신의 욕망을 차우의 욕망으로 대체한다. 정신분석적으로 차우는 불가능의 욕망을 추구한다. 강박증적인 주체의 사랑 방식이다. 차우는 수리첸을 사랑하고 욕망한다. 차우는 그녀를 만나고 싶지만 그녀가 설정한 금지의 선 앞에서 망설인다. 그리고 자신은 그 선을 결코 넘어갈 수 없음을 깨닫는다. 욕망의 불가능성을 깨닫고는 포기해버린다. 차우가 욕망의 불가능성을 인지하는 순간 대상은 무화 되어버린다. 대상이 무화되면 차우에게 남는 것은 금지의 선, 그 자체뿐이다. 그런데 그 선은 넘을 수가 없기에 차우의 욕망은 언제나 불가능으로 끝난다.<BR> 〈화양연화〉에서는 두 남녀의 어긋나는 사랑의 안타까움을 고조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영화에서는 많은 장면이 희미하고 모호하며, 거울에 반사된 모습으로 또는 전체가 아닌 가려진 일부로 보여 진다. 영화의 내용 역시 모호함으로 채워져 있다. 관객은 이룰 수 없는 사랑의 안타까움 때문에 숨겨진 비밀을 캐보려고 하지만 영화는 많은 부분이 모호하고 비밀에 쌓여있고 그 때문에 관객들은 더 큰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어긋남의 안타까움을 고조시키는 또 다른 기법은 비밀의 봉인이다. 모호하고 애매하게 하는 것은 뭔가 비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데, 영화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비밀을 봉인해버린다. 수리첸과 차우는 각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봉인해버린다. 수리첸은 불충족의 봉인으로, 차우는 불가능의 봉인으로 지나간 시간을 병속에 넣고 병의 뚜껑을 닫아 버린다. 그리하여 그들의 시간은 병 속의 시간이 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