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에 대한 설문조사와 주요지역 사례 조사를 통해 분관 체제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성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관의 담당 업무는 대체적으로 타당한 편이나. 분관의 유형에 대한 구분과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시급하며, 그 유형에 따라 공립문고와 이동도서관도 개념에 포함시켜 공공도서관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공도서관 분관은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 단위로 운영하되 중앙관-분관-이동도서관-공립문고-순회문고로 시스템화하구 민간단체가 운영 주체인 새마을이동도서관이나 사립문고는 분관과 연계 운영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교육청 소관의 분관은 기능 위주가 아니라 구조조정 목적으로 이루어져 왜곡 운영되고 있는 바, 시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s of branch syste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o find implications to improve such systems. Nationwide surveys to directors and branch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were conducted along with case studies on major local areas. It was revealed that the duties for each branch were rationally assigned in functional perspectives.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branch systems of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re planned in an inappropriate manner without considering their functional attributes. Other findings included (1) public library branches were necessary to be located in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hierarchal structure of the following: a central library, a main local branch. a mobile library unit. public mini-library and deposit station ; (2) Saemaul mobile library and private mini-library service were the most effective when they wer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public library branch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