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광고 다이얼 (ad dial)'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얻어진 함수 자료에 대한 독립 이표본 검정에 관련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미국대선에 출마한 오바마 대통령 후보의 TV광고를 실험참여자의 정치성향 (민주당/공화당/무당파)별로 오바마 후보의 피부색을 달리한 두 광고 형태의 다이얼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다. 특히 시간상관관계 (serial correlation)가 존재하는 함수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에 기반한 '적응-네이만-검정 (adaptive Neyman test)'을 적용하여 광고형태별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오직 무당파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We analyze respondents' reaction to Obama's advertisement, titled 'Fix the Economy'. These responde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democratic party, republican party and independent group. By manipulating the skin complexion of the Obama photo, participants were either exposed to the dark or light version of the Obama photograph. In order to obtain decorrelated stationary data, we have applied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to each curve and then we have applied Fan (1998)'s adaptive Neyman test to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ed data. As a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out only in the independent group.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