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제주도 신산리에 분포하는 알칼리현무암에 포획된 하즈버가이트와 레졸라이트 맨틀 포획암에는 조직적으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이차 사방휘석이 산출되어 다양한 정도로 교대작용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이차 사방휘석은 감람석의 가장자리나 입자경계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로나 혹은 포이킬리틱 조직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직은 감람석이 소모되면서 사방휘석이 만들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리카가 포화된 유체 또는 멜트가 관여한 교대작용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제주도의 조구조 특성, 맨틀 포획암의 조직 그리고 주원소 조성에 의하면 이 실리카가 포화된 멜트나 유체는 수렴경계에 형성되는 섭입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제주도 하부 상부맨틀 암석권은 제주도가 형성되기 이전에 맨틀웨지 환경에서 광범위한 실리카부화작용을 경험하였음을 시사한다. Mantle-derived xenoliths, corresponding to spinel harzburgite and lherzolite in alkali basalts from Jeju Island, are metasomatized to various extents. They contain distinctive secondary orthopyroxene, forming corona or poikilitic textures. It clearly indicate that this secondary orthopyroxene has been produced at the expense of olivine along the grain boundaries and margins, suggesting silica-enriched metasomatic melt infiltrated through grain boundaries. Based on the geotectonic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elements composition of mantle xenoliths, it is suggested that the silica-enriched melt/fluid could have derived from the ancient subducted slab, possibly in the mantle wedge, implying that the high <TEX>$SiO_2$</TEX> activity in the lithospheric upper mantle beneath Jeju Island at that tim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