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파브알부민(pa π albumin)은 망막의 다양한 세포타입에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전연구에서 박쥐 망막의 내핵층에서의 파브알부민의 분포를 보고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한국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규명하였고, 이들 세포의 분포양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파브알부민의 면역반응성은 신경절세포층의 다수 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 세포는 주로 중간형 이상 크기의 세포체를 가지고 있었다. 조사된 세포체의 직경은 12.35 - 19.12 <TEX>${\mu}m$</TEX> 의 범위를 가지며 (n=166), 신경섬유층의 섬유 역시 염색되는 것으로 보아,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절세포는 대부분이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NND (nearest neighbor distance) 분석을 통해서 본, 평균 NND는 59.57 에서 62.45 <TEX>${\mu}m$</TEX> 로 나타났으며, 평균 RI (regularity index) 는 2.95 <TEX>${\pm}$</TEX> 0.3 (mean<TEX>${\pm}$</TEX>s.d., n=4) 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파브알부민은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서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에서 주로 발현하고 있으며, 이들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진 채 잘 조직화된 분포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한 박쥐의 시각에 대한 이해에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Parvalbumin occurs in various types of cells in the retina. We previously reported parvalbumin distribution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b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retina of a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beled neurons.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was found in numerous cell bodies in the ganglion cell layer.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se cells had medium to large-sized somas. The soma diameter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ranged from 12.35 to 19.12 <TEX>${\mu}m$</TEX> (n=166). As the fibers in the nerve fiber layer were also stained, the majority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should be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The mean nearest neighbor distance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bat retina ranged from 59.57 to 62.45 <TEX>${\mu}m$</TEX> and the average regularity index was 2.95 <TEX>${\pm}$</TEX> 0.3 (n=4).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parvalbu-min is expressed in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in bat retina, and they have a well-or-ganized distributional pattern with regular mosaics. These results should be important as they are applicabl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solved issue of a bat vision. This data will help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ique behavioral aspects of bat flight maneuverabil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