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증상발병후 병원도착지연이 질병과 사망률에 중요한 관련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환자의 증상 인식 등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이전 단계의 의료기관 내원 지연의 원인을 연구하여, 향후 내원지연 시간 감소를 위해 적절한 보건교육 및 치료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샘플은 2009년 6월에서 9월까지 급성심근경색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 의료기록 및 임상자료는 병원진료기록를 이용하였으며, 병원전 지연은 6시간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였다.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들에서 내원시간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령인 경우,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 응급의료체계의 이용하지 않고 내원 한 경우와 급성심근경색을 위한 응급처치의 지연등이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계층과 고령층에 대한 급성관상동맥 증후군의 증상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증상발생시 의료기관을 빠르게 이용하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the delay from symptom onset to hospital arrival has a critical effect on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study examine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the prehospital delay in patients with AMI.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97 patients hospitalized with AMI between Jan and Dec 2009. Demographic, medical history, and clinical data were abstracted from the hospital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confirmed AMI, the prehospital delay was categorized as less than or greater than 6 hours. Older age, low socioeconomic status(medical aid), and low use of Emergency medical system were associated with delays in seeking emergency care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patient knowledge of acute coronary syndrome symptoms and promote patient responsiveness with regard to seeking medical care should be used to reduce the prehospital delay time, especially in the low socioeconomic group.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