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과거 한국 주택시장은 주택건설업체들이 아파트를 건설하기만 하면 분양이 순조롭게 되었기 때문에 공급자 주도형 시장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 사업개발주체나 건설업체들은 주택사업을 매우 경쟁적으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및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심각한 미분양사태가 발생하여 국내 건설업체들은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게 되었다. 본 논문은 시기별 금리 및 통화량과 같은 유동성이 주택매매시장 및 전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아파트시장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변수는 주택매매가격지수, 주택전세가격지수, 금리, 통화량(M2)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발생 이전인 2001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를 Model 1로, 2008년 10월부터 최근 2015년 10월까지를 Model 2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주택매매시장의 경우, 가계소득을 향상시키는 장기적인 주택시장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택전세시장의 경우, 전세공급량의 절대적인 부족에 따른 구조적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주택시장의 과도기적 변동이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In the past, once apartments were built by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their presale went smoothly. Therefore, the developer and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were extremely competitive in the housing market. However, when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and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occurred, the quantity of unsold new housing stocks rapidly increased, which caused construction companies to experience a serious liquidity crisi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Liquidity on the Housing Market before and after Macroeconomic Fluctuations using VECM. The periods from September 2001 to September 2008 and from October 2008 to October 2015, which were before and after the Subprime financial crisis, were set as Models 1 and 2,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long-term policy for the housing transaction market to improve household incomes. Second, due to the shortage in the supply of jeonse hous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have appeared. Thus, it is necessary to seek political measures to minimize the impact of transitional changes on the marke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