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ECD DeSeCo와 교육 2030 프로그램의 주요한 문제는 역량 개념을 목적합리성, 선형-인과성, 사물화, 도식화, 계량화의 차원으로 환원시켜 이해할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OECD 핵심역량 기반교육론 자체에 내재한 문제는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가 지배하고 있는 한국 고등교육의 상황 속에서 한층 더 증폭, 강화된다. 이 문제는 이와는 달리 역량을 그 개념쌍의 다른 한 축을 이루는 수행에 기반하는 것으로 재정식화함으로써 해결될 가능성을 마련한다. 이러한 수행기반 역량교육론을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실마리는 또한 이미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되었으나, 이 계기를 좀 더 분명하게 강조하고 있는 것은 후속 프로젝트인 교육 2030이다. 여기에서는 변혁적 역량과 행위주체성, 반성 개념을 통해 반성적 실천의 중심적 차원을 부각시키고 있으나, 그럼에도 도구적 합리성, 선형적 인과성 등 기존 역량교육론에서 문제시되었던 전제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히 한국 고등교육에서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는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 그 주요 출처가 되었던 OCED 역량기반 교육론을 수행에 기반한 역량교육론으로 비판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