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저축은행이 특별대손충당금의 분류조정을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상호저축은행은 일반(상업)은행과 달리 고정여신에 대한 충당금을 일부 자본으로 인정받는다. 상호저축은행이 위 규정을 이용하여, 특별대손충당금의 분류조정을 통해 이익관리 및 자본관리를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일반대손충당금과 특별대손충당금으로 구분하고 대손충당금과 대손충당금 전입 및 법인세 전 이익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저축은행은 이익을 유연화하기 위하여 대출자산 항목의 분류조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호저축은행은 고정이하여신 내 분류조정을 이용하여 특별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조정하여 이익을 유연화하고 있다. 재무건전성이 취약한(BIS 7% 미만)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특별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이용한 이익조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축은행의 고정여신의 충당금을 자본으로 인정하는 현행 제도의 수정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earnings management method of savings banks which serve as representative financing institution for people with poor credit. Because regulatory and supervisory regulations of savings banks are different to those of commercial banks, managers of savings banks may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in earnings management method. Especially, managers of the savings bank are expected to choose the earnings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resulting costs and benefits such as effects on BIS ratio, discretion of loan assets classification, and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savings bank discretionarily exploit classification of loans assets to smooth earnings. Specifically, managers discretionarily classify loan assets items upwards or downwards within non-performing assets. In addition, savings banks with BIS ratio lower than 7% tend to manage earnings upwards by classifying loan assets items upwards within non-performing assets to increase both net income and BIS ratio. The results of study imply that limitation of present regulatory and supervisory rules on savings banks incurs unintended negative effects on agency probl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