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지금의 노인세대는 개인도 국가도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세대들이며 그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과 유병장수로 인한 건강문제와 다양한 사회적 문제의 등장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자살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될 정도로 급속도로 증가 하고 있다. 노인 자살과 관련하여 최근에 들어 와서 많은 관심으로 여러 방면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미시적인 자살의 요인에 관한 연구가 대다수이고, 소수의 거시적 차원의 연구도 국가적 수준에 국한되는 경향으로 인해 지역별 노인자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적 수준에서의 노인자살 연구가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1년까지 9년간 지역별(16개시도) 노인 자살률 현황을 성별(남자노인 vs 여자노인)과 연령별(전기노인 vs 후기노인)로 나누어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과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t is hardly surprising for the current elder generation to choose extreme measure, that is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various social or health problems caused by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seases, for neither individuals nor the nation had not prepared for their later lives. Therefore, the number of elder suicide is rapidly increasing, so that it is becoming a big social issue. Research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elderly suicide has been done due to recent huge interest, but most of them focused on microscopic factors and it is likely that most are in national level or individual level, so research about elderly suicide by regional areas is insufficient. Due to the nature of Korean administra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by each local government, study on elderly suicide by regional areas is acute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suggestions of preventing suicide by analyzing current state of suicide rates in terms of sex(male elder vs female elder) and age(young old vs old old) in each 16 regions for 9years(from 2003 to 2011) and then analyz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suicide rates and socio-economic facto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