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정책구성요인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정책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정책요인 평가는 장기 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 혹은 도시공원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그 절차는 정책요인의 선정, 정책요인 간 가중치 산정, 평가결과의 해석이라는 세단계로 구성되었다. 평가의 결과, 전문가들은 정책요인 중 국고보조금 확보(0.183), 지방재정계획과 단계별 집행계획의 연계(0.165),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의 선별적 존치(0.154), 국유지 무상 양여 및 장기 임대(0.110)와 같은 요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향후 도시공원 일몰제의 시행에 앞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폭넓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paper provides a solution for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and its implication by evaluating the policy elements us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he policy elements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or parks. The evaluation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the selection of policy elements, the weights assessment, and an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experts place a high value on policy elements, such as government subsidies (0.183), the linkage between a municipal fiscal plan and an executive plan (0.165), a re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0.154), and a grant or long-term lease of state-owned land (0.110). A wide range of in-depth discussion is strongly needed ahead of the sunset regulation on urban parks, which will take effect in 2015.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