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국가발전과 국민 삶의 질적인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제 성장지표의 한계로 행복지표가 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방자치제도의 실시와 더불어 행복과 정부와의 관계가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중앙정부의 지시나 업무를 수행하는 단순한 전달체계로의 기능에만 머물던 과거와는 달리 지방정부는 국민들에게 가장 인접한 정부로서 국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에 대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다수의 행복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이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고 인천시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개인적 요인에는 가족과의 관계, 소득, 직업, 계층, 여가, 사회자본이, 환경적 요인에는 주거환경, 의료보건 환경, 교육 환경, 수질 환경, 대기 환경, 문화체육환경, 교통환경, 보행환경이 포함되었다. 또한, 다문화 사회적 특성이 증가하는 현 상황을 고려하여 외국인에 대한 태도도 독립변수에 포함하였다. 인천시 사회조사 2019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귀속계층, 가족과의 관계, 사회자본, 외국인에 대한 태도, 여가, 주거환경, 교통환경, 보행환경, 대기환경, 사회안전 등이 인천시 시민들의 행복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이면 덜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행복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천시 시민들의 행복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외국인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