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국 개신교를 베버의 가치합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베버는 종교개혁을 통해 탈주술화 과정이 완성되었다고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개신교가 근대 사회의 합리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개신교는 우리 사회 근대화 과정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구 개신교 선교사들은 학교, 병원, 근대 시설 건립을 통해 우리나라가 근대 사회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개신교는 이뿐만 아니라 전근대 조선 사회에서 당연시되던 여성과 노비 차별을 반대하며 평등 개념을 전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 개신교는 탈종교화 시대를 맞아 위기를 겪고 있는데 이는 개신교가 가진 합리성의 위기라고 볼 수 있다. 개신교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관련된 상황에 대처하는 태도는 과거 개신교가 보여주었던 합리성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베버의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 개신교가 서양 합리성 개념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현재 한국 개신교가 코로나 사태와 관련하여 여전히 그러한 합리성을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