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현재 운영중인 3개 도시의 대중교통전용지구에 대한 운영상황을 비교 검토하고, 2015년 가장 최근에 도입된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방문객의 만족과 불만족을 판별하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판별모형식을 제안하였다. 국내 도입된 3개 도시를 비교 검토한 결과 도시별로 운영방식이 다르며, 서울의 경우는 교통수요관리, 부산의 경우는 보행환경, 대구의 경우는 대중교통 이용 접근성이 타도시 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부산의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판별모형식을 통해 상권 활성화 여부가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유용한 변수이고, 버스 이용편의 증대 여부, 교통위험성 증가 여부, 보행자 수 증가 여부, 상가방문자 증가 여부의 순으로 판별력이 높은 변수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종 event 행사와 상가 주민과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의 상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일반차량의 통행제한 시간 확대, 도시철도와 연계하는 방안 마련 등 교통여건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main objectiv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ransit mall.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operational status of transit malls in operation (Daegu, Seoul and Busan). For the city of Busan where the latest transit mall became operational in 2015, a discriminant model was proposed to determine us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outcomes of comparative study showed that each city has different operational focus - Seoul has focus on traffic demand management, Busan has focus on walking environment, and Daegu has focus on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lso, the discriminant model indicated that market sentiment, convenience of bus service, traffic accident risk, number of pedestrian, market user number have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ied that,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measures for market revitalization such as opening events and forming consultative groups need to be prepared and traffic conditions should also be improved through expansion of curfew time, linkage with subway st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