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독도 주변해역의 퇴적물에 살고 있는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생물상과 분포양상을 보기 위하여 독도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5개 조사선을 설정하여 수심이 150 m내외의 얕은 곳에서는 반빈그랩으로, 수심이 500 m 이상인 곳에서는 박스코어를 사용하여 1999년 9월과 2000년 5월에 두 차례에 걸쳐 생물채집이 이루어졌다. 독도주변의 대륙붕에서의 퇴적상은 모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륙사면역의 퇴적상은 모래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울릉분지 내의 퇴적상은 니질이 우세한 퇴적상을 보여 대비가 되었다. 총유기탄소의 함량은 표층에서는 1%전후의 값을 보이고 있으나 정점별 함량 차이가 2배정도 나고 있다 독도 주변 해역의 사면역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동물을 조사한 결과 8개의 동물문(Phylum)에 속하는 15개 분류군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조사해역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군으로는 다모류로서 전체 출현개체수의 80.6%를 차지하였고, 연체동물(6.2%), 갑각류(4.0%), 성구동물(3.9%), 원생동물문의 유공충류(2.8%), 유형동물(1.4%) 순으로 우점하였다. 대륙사면의 우점종은 짧은더듬이달걀발갯지렁이(Exogone veugera)(40.9%), Cossura longicirrata(8.4%), Tharyx sp.(6.6%), Scalibregma inflatum(4.9%), Aglaophamus malmgreni(4.7%), Aricidea ramosa(3.8%), Sigambra tentaculata(3.7%) 등이었다. 대륙붕에서의 우점종은 Chone sp.가 전체 개체수의 49.3%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종이었고, Tharyx sp.(18.4%), Ophelina acuminata(6.7%), Chaetozone setosa(3.8%), Myriochele sp.(3.3%), Glycera sp.(2.6%), Aedicira sp.(2.4%) 등이었다. 다모류군집의 섭식 유형은 심해의 사면역에서는 표층퇴적물식자가 전체 다모류 개체수의 54.7%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천해의 붕단역에서는 여과식자가 전체의 49.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한 섭식유형이었다. 서식밀도는 울릉분지의 정점 A19에서 5종류의 저서생물과 152개체/<TEX>m^2$</TEX>로 가장 낮은 서식밀도와 빈약한 종조성을 보였고, 사면역의 정점에서는 평균 서식밀도가 3100개체/<TEX>m^2$</TEX>였다. 대륙붕에서는 평균 456개체/<TEX>m^2$</TEX>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다모류의 출현종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과 배열법의 결과 독도를 중심으로 남북에 위치한 정점들은 종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퇴적물 깊이 따른 저서동물의 수직분포 양상은 표층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분포하며 깊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The faunal assembalges of macrobenthos and their habitat conditions on the soft-bottoms around Dokdo(Dok Island) was investigated using a box corer and a van Veen grab in Sept. 1999 and May 2000. The sediments in the slope sites were composed of sand particles and those in Ullneung Basin were mud. The sediments in the shelf sites were in the range of fine to medium sand. The organic content of the slope sediments was in the range of 1 to 2%. The macrobenthos occurred at the slope sites represented by 15faunal groups belonging to 8 phyla, and the major faunal group was polychaetous annelids. They comprised ca. 80.6% in slope sites, and 84.8% in shelf sites. Dominant species in the slope were Exogone verugera(40.9%), Cossura longocirrata (8.4%), Tharyx sp. (6.6%), Scalibregma inflatum (4.9%), Aedicira sp. (4.7%), Aricidea ramosa (3.8%), and Sigambra tentaculata (3.7%). Dominant species in the shelf were Chone sp. (49.3%), Tharyx sp. (18.4%), Ophelina acuminata (6.7%), Chaetozone setosa (3.8%), Glycera sp. (2.6%), and Aedicira sp. (2.4%). The mean densities of macrobenthos in the slope and shelf area were <TEX>$2,028\;ind./m^2$</TEX> and <TEX>$456\;ind./m^2$</TEX>, respectively. The trophic composition of benthic polychaete worms in the slope area was different from that in shallow shelf area: surface deposit feeding worms were most abundant in slope area whereas filter feeding worms in shelf area.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and MDS plo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Dokdo slope region was related with the sediment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and organic content. In the case of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lope sites, most faunas concentrated in the upper sediment layer within 2cm depth.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