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과 정상 성인의 보행경로 너비에 따른 보행 시, 시 공간적 보행 변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낙상의 경험이 없는 건강한 노인 20명과 20대 성인 18명으로 하였으며, 3가지 다른 너비의 보행경로(평상시 보행(usual walking), 좁은 너비 보행(narrow base walking), 한줄 보행(centerline-guided walking)에서 보행을 실시하였다. 평상시 보행은 보행경로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좁은 너비 보행은 각 대상자의 양측 ASIS 사이의 거리를 1/2로 나눈 너비를 보행경로로 설정하였으며, 한줄 보행은 보행경로 중앙에 한 줄을 표시하여 보행을 실시하였다. 보행을 실시하는 동안, GAITRite system을 이용하여 시 공간적 보행 변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보행경로 너비에 따른 시 공간적 보행 변수 비교에서 20대 성인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노인의 경우 보행속도, 분속수, 양 뒤꿈치 사이 기저면, 기능적 보행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은 20대 성인에 비해 보행경로의 너비가 좁아질수록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보행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낙상 예방 훈련을 위한 적절한 보행너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emporospatial variables in healthy elderly and healthy adults during usual walking, narrow base walking and centerline-guided walking. Twenty healthy elderly and nineteen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each conditions, the subjects were walked on a 6m walkway at comfortable self-selected speeds under three conditions : (1) usual walking, (2) walking within a 5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s ASIS (3) walking along a centerline. GAITRite system was used for kinematic analysis to assess the temporospati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healthy adults(p>.05), but walking speed, cadence, H-H base support,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rogressively as pathway narrowed in elderly adults(p<.05). The results show that elderly people had more difficulty with walking on narrow pathway for fear of falling. This study provides data for use in basic research into safe walking and preventing falling for elderl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