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지역과 국가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이언스 파크가 구축, 발전되고 있다. 대덕특구에 이어 대구와 광주, 그리고 세종시에도 사이언스 비즈니스파크(SBP)가 계획 중에 있다.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은 과거 50년의 경험과 향후 전략은 우리에게 매우 소중하며, 우리나라가 계획하는 세종, 대구, 광주의 세 지역과 다른 지역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준비 중인 사이언스 비즈니스파크의 핵심요인으로 연구역량과 인재, 지역의 리더십과 협력교류,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 삶의 질 환경 등을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각 지역내에 대학과 연구소의 역량을 높이고, 우수인재를 배출해야 한다. 장기간 리더십을 통해 SBP가 정착 발전하도록 하며, 산학연 협력의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신제품을 개발하고 매출을 증대시켜야 한다. 글로벌 정주여건이 마련되어 외부에서 인재와 가족이 살고 싶은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Science business park(SBP) has been formulat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e Daedeok Innopolis, cities of Daegu, Gwangju, and Sejong are considering making the SBP in now. Research Triangle Park(RTP) which was planned by the local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c leaders has been developed for 50 years and has planned the next strategy. This RTP experience is very precious to Korean cases and can be contribute to three cities and other regions. Key success factors of Korean SBP are as follows, research capability and talents, visionary loc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creative business model, and quality of lif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