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유방암 생존자들의 비약물적 추후 관리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 총 참여자는 10명으로 S시 E병원 외래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유방암 생존자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완료한 자들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심층면담 후 Colaizzi의 방법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는 '1.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용이한 방법을 적용함, 2. 변화된 신체 상태를 위해 움직이려 함, 3. 재발 방지를 위해 특정 식용 작물을 섭취함, 4.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양식이 있음,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항상 예의주시함, 6. 주치의 처방외 필요한 치료가 있음, 7.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의 삶을 지향함' 이었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들이 치료 후에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추후관리를 하는지 심도있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본 결과는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실제 관리 양식에 근거한 실행 가능한 지침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by using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breast cancer survivors who were completing cancer treatment that involved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Data collected between August 2014 and February 2015 at E Hospital in S city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Outcom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essential themes: 1) application of comfort measures to alleviate ongoing symptoms, 2) movement to change physical conditions, 3) special herbal intake to prevent recurrence, 4) a specially designed diet plan for health self-management, 5) constant awar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6) unmet needs treated by one's own doctor's prescription, and 7) future life toward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in the daily lives of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In addition, results provide an essential resource, based on actual self-management styles, that will help survivors to obtain guidance and participate in appropriate program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