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케틀벨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고교 야구선수의 기초체력과 전신 최대근력 및 투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야구선수의 신체 능력과 운동 수행능력을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BO협회 소속 엘리트 고교 야구선수 16명으로 케틀벨 트레이닝 8명과 웨이트 트레이닝 8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사전(0주), 사후(8주)를 실험 측정하였다. 기초체력으로 심폐 능력(하버드 스텝 신체 효율지수, 젖산), 근지구력(싯업),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민첩성(10M 왕복달리기)을 측정하였고, 전신 최대근력으로 스쿼트, 데드리프트, 벤치프레스의 1RM을 측정하였다. 투구능력 평가로는 스피드건을 이용한 투구속도와 kinovia 영상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제구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25.0 for window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이원반복측정변량분석(two way ANOVA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5, p<0.1에서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체력에서 심폐 능력은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 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냈고, 근지구력은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 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순발력은 케틀벨 그룹에서 감소, 웨이트그룹에서 증가로 웨이트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민첩성은 케틀벨 그룹에서 감소, 웨이트 그룹에서 감소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둘째, 전신 최대근력에서 스쿼트(1RM)은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데드리프트(1RM)는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 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벤치프레스(1RM)는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 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셋째, 투구능력에서 투구속도는 케틀벨 그룹에서 증가, 웨이트 그룹에서 증가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제구력은 케틀벨 그룹에서 감소, 웨이트 그룹에서 감소로 두 그룹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케틀벨과 웨이트 트레이닝은 고교야구선수의 기초체력과 전신 최대근력 및 투구능력에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라 사료되며, 복합트레이닝 시 더 높은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겠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