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우리사회 청소년들의 적극적 여가활동을 권장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마리로서, 여가활동 접근성과 몰입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여가활동의 접근성은 현대사회의 시간체계 배분과 공공 서비스 접근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청소년이 여가활동을 선택·유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개인적인 시간 가용성’과 활동에 참여하는 또래들의 ‘집단적인 시간 가용성’, 그리고 활동이 발현되는 기관이나 시설의 ‘구조적인 시간 가용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청소년 수련시설 19개소와 해당 시설에서 활동 중인 75개 청소년여가활동 집단, 해당 집단들에 소속된 31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수련시설의 이용자 수 및 개방 공간에 관한 공개운영정보 등을 활용하였다. 이는 시간 가용성이 가진 다층적인 성격을 고려하기 위함이었다. 전술한 자료들은 위계선형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자신의 삶 속에서 여가활동을 위해 시간을 자유롭게 할애할 수 있는 수준’인 개인적 차원의 시간 가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몰입 수준이 높았다. 둘째, ‘해당 여가활동이 발현되는 수련시설 공간 이용의 자유로움’을 뜻하는 구조적 차원의 시간 가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몰입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는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극적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와 제언을 논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