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 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 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 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 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Ⅳ, Ⅴ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 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 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 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